양삼열 경주대학교 사회교육원 풍수지리학과 교수
건원릉은 조선을 개국한 태조의 왕릉으로서 묘호는 태조이고 능호를 건원릉이라 하였다. 여기서 묘호(廟號)란 종묘(宗廟)신위에 올리는 명칭이기에 조선을 개국한 창업지주이므로 태조라 하였고 능호(陵號)는 왕릉에 붙이는 문패와 같은 것으로 조선왕조건국의 원조이기에 건원릉(健元陵)이라 하였다. 태조의 건원릉은 수많은 왕릉가운데서도 서너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풍수적 길지다. 하륜대감과 풍수지관 기보 등은 건원릉을 둘러보고 어찌 이와 같은 천작(天作)의 땅이 있을 수 있는가? 이것은 분명 인위적으로 만든 산(山)일 것이다 할 정도였다. 이러한 말은 이곳이 길지임을 시사하는 말이고 건원릉의 풍수입지에 대해서는 모든 신하와 지관들의 의견이 일치했다고 태종실록에 기록하고 있다. 건원릉은 그 당시에도 풍수가들에 의해 명당으로 평가받아 왔듯이 현재에도 그곳에 올라보면 첫눈에 명당임을 알 수가 있다. 이곳은 혈장을 중심으로 사신사들이 조화와 균형을 잘 이루어 환포성이 좋으며 혈장 앞의 안산과 조산은 병졸들의 무리와 깃발을 휘날리는 형국을 하고 있어 장군대좌형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형국론으론 보는 이에 따라 비룡입수, 맹호출림형, 용(用)자형 명당 등 다양하게 불리어지기도 한다. 실제 현지에서 확인해보면 용(用)자형 명당이 확인되며 형국의 이름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상대적으로 혈(穴)이 좋다는 것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다른 모든 왕릉은 짧은 잔디로 뒤덮여 있으나 이 건원릉은 억새풀로만 뒤덮여 있다. 이유인 즉, 태조는 조선을 건국하는 위업은 이루었지만 그 후 왕자들의 권력다툼으로 무거운 말년을 보내야 했다. 태조왕비 신의왕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은 계모 신덕황후의 아들인 방석이 세자로 책봉되자 왕자의 난을 일으켜 방석을 제거하였으니 아버지 태조는 화가나 태종 이방원과 한곳에 있으려 하지 않았다. 함흥으로 돌아간 태조는 2년이 넘도록 그곳에만 있었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함흥차사’란 말도 태조와 태종의 갈등에서 생겨나온 말이다. 태조는 생전 유언으로 아들 태종에게 한양은 몸서리치는 기억밖에 없으니 자신을 평온한 고향땅 함흥에 묻어달라고 하였다. 그러나 태조가 승하하고 조선의 첫 왕릉을 한양과 동 떨어진 북녘 함흥 땅에다 조성할 수는 없었다. 이는 한양이 중심인 조선왕조에 있어서 왕권의 누수현상이나 다름없고 조선왕조 초기였기에 국경수비대가 안정되지 않아 여진족과 같은 북방민족이 침입해 왕릉도굴의 우려도 있었다. 그렇다고 선친의 유언을 완전히 묵살할 수는 없었기에 함흥 땅에 자라는 억새풀을 가져와 떼를 입혔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묘책은 그 당시 영의정이었던 하륜대감이 함흥 땅에서 자라는 억새풀을 왕릉위에 덮어두면 그 곳에 묻힌 것과 다름없으니 그렇게 조성하자고 상소를 올려 실행되었다. 그런 연유로 건원릉은 조선의 다른 왕릉과 달리 지금까지도 억새풀로만 뒤덮여 있다.